시사inLive [142호] 2010.06.08 09:32:14 | 박형숙 기자 | phs@sisain.co.kr |
위 링크를 클릭하면 기사 원문을 볼 수 있다. 기사 중에 몇 가지만 옮겨 적었다.
![]() |
||
ⓒ시사IN 조남진 안철수 교수는 “자신의 실수를 용서하라. 스스로에게 기회를 주는 것이 가장 큰 선물이다”라고 말했다. |
1.
안철수 교수가 강연 서두에 말했다. “깨달아야 운명이 바뀝니다. 깨달으면 생각이 바뀌고 생각이 바뀌면 행동이 바뀝니다. 제가 가진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여러분에게 깨달음의 기회를 드릴 수 있기를 바랍니다.”
2.
균형 감각이 중요하죠. 일본의 여류 작가 시오노 나나미가 이런 말을 했어요. 균형 감각이란 양극단의 중간점이 아니라 오히려 극단을 오가면서 최적점을 찾으려고 노력하는 과정이라고. 답은 한쪽에 있지 않고 항상 움직인다는 겁니다. 이제 세상을 그런 눈으로 봐야 하지 않을까 싶어요.
3.
사람의 운명을 결정하는 소양을 한 가지만 들라면 ‘집중력’을 꼽고 싶습니다. 제가 좋아하는 작가 중 말콤 그래드웰이 있는데 그의 책인 <아웃라이어>에 보면 어떤 분야든 그 분야의 전문가가 되려면 1만 시간을 투입해야 된다면서 ‘만 시간 법칙’을 얘기합니다. 매일 3시간씩 10년 하면 1만 시간이 되는데요. 억지로 못합니다. 재밌어야 돼요. 자기가 무엇에 흥미를 가지고 있는지 모르면 집중할 수도 없고 성공할 수도 없어요. 저에게 메일을 보내 답을 알려달라는 질문을 많이 하는데 남이 대신 결정해주는 경우 거의 100% 결과가 좋지 않습니다. 답을 찾는 건 자기 몫이에요.
4.
첫째, 항상 읽을 것을 가지고 다니라는 겁니다. 옛날 직장의 엘리베이터가 작아서 기다리는 시간이 5분, 10분 정도 되었는데 그 시간에 읽으려고 잡지를 늘 가지고 다녔어요. 한 달이 지나니까 굉장히 많은 잡지를 읽게 되더라고요. 둘째, 저는 항상 노트를 합니다. 잠을 자다가, 목욕을 하다가, 운전을 하다가도 떠오르는 아이디어가 있으면 메모지에 적습니다. 아이디어는 휘발성이 있기 때문에 그 순간을 담을 수 있는 보조기억장치가 바로 메모예요. 그렇게 적은 메모지를 가방에 넣고 다니다보니 10kg이 넘더군요. 제 고민의 무게인 셈입니다. 셋째, 급한 일보다 중요한 일을 먼저 하라는 것입니다. 지나보면 급한 일은 다 했는데 정작 중요한 일을 못한 인생이 될 수 있습니다. 넷째, 투자한 만큼 즐기는 법입니다. 화원에 예쁜 꽃이 많지만 자기가 물을 주고 정성을 들인 꽃이 더 예뻐 보이지요. 다섯째, 첫인상보다 마지막 인상이 중요합니다. 마지막 헤어질 때 모습이 그 사람의 본질에 가깝습니다. 마지막으로, 실수를 하더라도 자기를 용서하라는 겁니다. 실수는 당연합니다. 너무 실망하고 후회하지 마세요. 스스로에게 기회를 주는 것이 가장 큰 선물입니다.
고민하던 내용이 갈수록 응집되는 것을 느낀다. 하나는 생각하고 행동하며 습관으로 만들자는 현재 내 좌우명이고, 목표를 위해 꾸준히 노력하자는 것. 또한 1만 시간의 법칙과 집중력에 굉장히 공감한다. 자기계발서가 실제 인생에 도움이 된다고 느끼지 못했고, 그래서 읽는 것을 꺼렸는데, 어쩌다 읽게 된 <아웃라이어>는 굉장히 강한 메시지 하나를 던져 주었다. 그것이 '1만 시간의 법칙'이었다.
요즘 <생각의 오류>를 읽고 있는데, 알던 내용이지만 예시와 함께 보니 재밌다. 그런데 다소 걱정이 되는 건, 마치 미신을 믿듯이 비정상적인 경로로 생각하는 사람들을 어떻게 설득하고 생산적인 대화를 이끌어낼 수 있는지 (아직 다 읽지 않아서인지) 알 수 없다는 것이다. 얼른 마지막 장까지 넘겨보아야겠다.